Category Archives: 역사는 반복된다/History Repeated

21세기의 상황과 역사적 사례를 연계하는 글들입니다.
These are the articles that relate 21st century situations to similar historical precedents.

The United States: A Road to Independence (5)

I am so glad that this is already the fifth article of this series. In the last article we looked into the beginning of the French-Indian War; we will discuss the progress and end, and the post-war world.

The United States: A Road to Independence (5)

In the last scene in the last article, George Washington was able to rally the troops and retreat from the hell of the Monongahela forest. After this devastating defeat, Great Britain was seemingly alarmed and paid a lot of attention to the North American theater of the war with sending new generals. There were two major reasons for this.

The first reason was that the very reason why Great Britain joined the war was to defeat the French in colonial competition. In fact, in mainland Europe, Friedrich the Great was doing his work in the ‘real’ war and Great Britain served a passive role of financially aiding the cause. Instead, the empire was fighting France in India and Africa. Great Britain was able to spare some of their resources after the decisive victory by General Robert Clive at the Battle of Plassey in India in 1757.

The second reason was the new British Chancellor of the Exchequer(Secretary of State) William Pitt. This prominent figure, who later becomes the Prime Minister, knew what was needed to be done in order to win the war; he decided to channel their firepower on big cities such as Quebec and Montreal, not on the frontier like the Ohio River Valley. While sending Count Campbell to drill the colonial militia, Pitt focused on persuading other members of the cabinet to send in more troops.

Image

(William Pitt showed how much bureaucracy could improve. If this guy remained in his office a little longer, the United States could not have achieved independence.)

France did not sit still either. Louis Joseph de Montcalm, war-hero from the War of Austrian Succession, came to the Americas. General Montcalm commanded the French regulars stationed in Canada and occupied Fort Ticonderoga and Fort William-Henry.

Image

(General Montcalm blazed through present-day American-Canadian border as if he wanted to prove there had been no good commander in the British army.)

The Montcalm offensive reached a crescendo at the Battle of Carillon. Count James Abercrombie, a newly-appointed commander of the Red Coats of the time, marched his troops of 17,000 men to Lake Champlain and Fort William-Henry which was owned by the French now.

Image

(Lake Champlain is in between New York and Quebec. Regardless of directions, you had to go through this region if you wish to move between New York and Quebec.)

Image(The deployments at the Battle of Carillon. The blue team is the French; the red is the British.)

Arrogant and incompetent Count Abercrombie sent just the infantry to the fort only to be met by Montcalm’s strong defensive artillery fire. The British were destroyed due to their blunder. 17,000 Red Coats were routed by 3,400 not to mention it was a devastating defeat. British casualties were 1,900 while the French suffered only 200.

Image

(The French troops praising the victory. However, their heroic triumphs will soon face an end.)

William Pitt, pissed off at the results, sent two aces to North America: General Jeffrey Amherst and Brigadier General James Wolfe. If these guys had screwed up, the political life of Pitt would have ended as well. However, that never happened.

Image

(General Amherst was an experienced, well-thinking commander. He would later become the first governor of Canada, setting a precedent of the Canadian government of today. Personally, he was later appointed as the Commander-in-Chief of the entire British army, and was offered to fight the Americans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his demand to have 75,000 was declined and Henry Clinton took the spot.)

Image

(General Wolfe was a very brave man, although people thought he was kind of mad because of his excessive bravery and patriotism. However, he was considered to be good at ‘war.’)

Thanks to General Amherst’s excellent commanding skills, the British offensive was ignited. General Wolfe’s valor was outstanding at the Battle of Louisburg. The Red Coats conducted amphibious operations and besieged the fort for 44 days to occupy the strategic point.

Image

(The attacking route of the imperial army. As shown in the map, it was necessary to gain control of Louisburg in order to advance to Quebec and Montreal by the sea.)

Image

(The Red Coats’ landing party. Our bro James Wolfe’s boat was in front of everyone.)

On the 44th day of the siege, the British artillery fire broke down a part of the fort wall and 5,000 French troops surrendered. This opened the sea route to Great Britain. However, there were two hinderance that stopped General Wolfe from attacking Quebec right away. One was the brutal winter of Canada. Like in Europe, it was the best decision a commander can make to continue military campaigns during the winter of North America. The other reason was desease. A severe fever raided the camp of both sides, and Wolfe himself had to stay in bed for a few days.

These two factors that protected cornered General Montcalm and his French troops were gone by the summer of 1759. General Jeffrey Amherst, now the Commander-in-Chief of the British Army, decided to march his army separated in three. He, himself, would lead the first army to siege Fort Ticonderoga, Sir William Johnson would march the second army to Niagara, and General Wolfe would occupy Quebec with the last army.

General Louis Montcalm noticed such movements and concentrated his remaining army to Quebec. Now, the question was, since Wolfe would have to cross the Lawrence River, where he would cross the river. Montcalm sent patrols to possible river banks for amphibious operations, but Wolfe proves himself to be a ‘mad man’ indeed. He ordered his troops to land on rough cliffs, not ordinary river banks. Montcalm did not know this surprise attack was possible, and it was too late when he finally found out.

Image

(The Red Coats climbing up the cliffs. We can see there was something different to this guy.)

Image

(The troop deployments right before the Battle of Plains of Abraham. A good portion of the French troops was constituted by militiamen, unlike the British, who were 100% regulars.)

The worst disadvantage of the French was the inferiority in their firepower; the militia force in the center was the biggest hole. The militiamen routed when the British regulars marched, in their tight formations, within 40 yard distance of the French and gave them a volley. The British power was channel to the center and General Montcalm, furious of the the infidelity of the center, tried to command the unit himself but was killed by a cannonball through his belly.

General Wolfe, who was ordering his troops to pursue the enemy, was also shot in his wrist, stomach, and chest. As he fell down, he left his famous remarks: “Then tell Colonel RIver, to cut off their retreat from the bridge. Now, God be praised, I die contented.” His epic death would be found useful to Pitt’s political propaganda.

Image

(Death of General James Wolfe, who led the war to British victory with General Amherst.)

As Quebec fell, Montreal was safe no more. General Amherst’s army occupied Montreal in 1760, thus ending the war with French loss of the Canadian territory; the war left the French with only the Louisiana territory in North America. Let’s go back to the European theater and how things went there.

Friedrich the Great’s plan to exclude Austria from the war by besieging Vienna failed due to the defeat at the Battle of Kolin. However, his heroic victory at the consecutive Battles of Leuthen-Lorsbach, despite the numerical inferiority of 1:3, the king showed off the Prussian might. In spite of these brilliant tactics, Prussia suffered devastating defeat at the Battles of Zorndorf and Kunersdorf, because Russia was able to join the war at this point. Since then, Friedrich carried a small locket that had poison in it so that he can kill himself if need be.

Image

(The worst defeat Friedrich the Great had to taste. 50,000 Prussians fought against 59,000 troops of Austro-Russian alliance, and only 3,000 returned to Berlin.)

Dawning new year of 1762 brought a huge change to the war: Elizabeth of Russia died and was succeeded by Peter III, who was a huge fanatic of Friedrich II. What this guy first did was to make peace with Prussia, which was on the verge of total destruction. Russian withdrawal from the war at the speed of light blew away the minds of France and Austria that were resiliently fighting the British at their breaking point.

Image

(Peter III looked like a piece of potato. Soon, he would be ousted by his own wife, who later becomes Catherine the Great.)

Friedrich sensed Austria’s disappointment to the cause and mustered his last troops to march to Austria. His brother Archduke Heinrich destroyed the Austrians at the Battle of Freiberg and ended the war with a glorious victory. In 1763, the Treaty of Paris ended the world war.

The Seven Years’ War had an enormous impact on North America. First, France left the Canadian region and ceded the territories east of the Mississippi to Great Britain. This deepened French hatred of the British. Secondly, the colonist of the Thirteen Colonies realized that the Red Coats were not invincible. Finally, a huge deficit in the imperial treasury was caused. Great Britain not only aided Prussia but also fought in numerous places around the globe and was at the breaking point.

Image

(The orange territory was the British territory before the war and the light green regions were ceded by the French after the war. Great Britain’s colonial territories became 4-times bigger than it used to be.)

Until the war ended in 1763, Great Britain implemented the measurement of ’salutary neglect,’ which gave the colonies much autonomy. This policy never documentally existed and was named so later on, because it just happened to be that way. Anyway, thanks to the ‘Salutary Neglect,’ the colonists came to believe that they were equal to their fellow Englishmen back in their mainland. One good example is the Navigation Act, which forced the colonies to trade only with Great Britain. This law was passed in the Parliament in the early 18th century, although nobody cared due to the Salutary Neglect. However, as the French-Indian War ended, this would change.

First, Great Britain set an imaginary line named “the Proclamation Line of 1763” to halt colonial expansion, and enforced the Navigation Law more strictly. The Proclamation Line of 1763, actually, was intended to protect the frontiersmen and seek a diplomatic measure to settle the Native American issues peacefully. Despite these good intentions, this law aroused much colonial anger, for they thought, “Well, we bled to gain the land from the French and now that they left, you guys are stopping us?” The colonists simply flipped their finger to the British and continued to migrate through the Appalachian mountains. This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Native American tribes and the frontiersmen, which was the worst case scenario for the British who wanted to lessen the deficit.

Image

(The Proclamation Line of 1763. It was not a real line, nor was it guarded by the British military.)

The strictly enforced Navigation Law was hated by the colonists as well, because they, as mentioned before, thought that they were equal to the British. They said, “We are no less subjects of His Majesty than those in England, but how come we are not supposed to trade with other countries of our liking?” As they wanted to trade and the government forbade such actions, smuggling was prevalent and this would help the Revolutionary War.

Image

(The Triangular Trade that took place between West Africa, North America, and Great Britain. Because of the Navigation law, the American colonies would officially trade only with Great Britain.)

The British regulars that were sent to North America were kept stationed in the Thirteen colonies. Now the problem was their upkeep, and the British government decided that the colonists must pay for it. This also contributed to colonial grudges against Great Britain, for they saw no more threat as the French left. They believed that the British forces were just occupying military provisions. The worst came as George Grenville, brother-in-law of William Pitt who was now the Prime Minister,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North American colonies. This guy proposed many aggressive resolutions.

In 1764, to make up for the deficit, the Imperial parliament passed the Sugar Act that was proposed by George Grenville. It charged every product of sugar some taxes, and was the first taxation law that were ever imposed to the colonies. In 1765, the Parliament also passed the Quartering Act and the Stamp Act. The Quartering Act meant that the colonists were obliged to provide the soldiers with food and shelter if the soldiers asked. and this brought a huge opposition. It would be prohibited in the Constitution later on. The Stamp Act necessitated people to put stamps on every piece of paper in the Thirteen colonies; every piece of paper ranged from legal documents to game cards.

Image

(a stamp that was worth 1 penny.)

What the colonists really hated, in fact, was not the laws themselves but their principles. The principle that was implied in these laws was that the taxes on the products within the colonies could be just justified. They knew that Great Britain wanted to end the Salutary Neglect and start a closer influence, granting less autonomy to the colonies. A huge aggressive riot was yet to be started, although the phrase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was shouted out through North America.

Many bright-minded people agreed to have a meeting in New York city to denounce this law; the meeting would later be referred to as the Stamp Act Congress. Delegates from 9 out 13 were present.

Image

(The Stamp Act Congress.)

There were two major resolutions passed by the Stamp Act Congress. The first was to boycott British products. Great Britain usually bought raw materials from the colonies, forged them into products, and sold them back to the colonies. The second resolution was to send an official letter of grievances to the imperial parliament. They thought it might work if educated persons, not an angry mob, would like to make a point, it could be considered seriously.

The government of Great Britain was surprised to face much opposition in the New World, and repealed the Stamp Act in 1766. However, they still passed the Declatory Act, which stated taht the right to levy tax on the colonies was held by the imperial government, not the colonial dominions and it was possible to combine all 13 colonies into one if need be. The law, to the colonists, looked like an overture to the storm that was coming.

We have looked into how the Seven Years’ War ended and the postwar effects on North America. In the next article, we will be discussing Boston Massacre and the people that were sucked into the maelstrom of the Revolutionary War.

수성이 창업보다 쉽다?

수성이 창업보다 쉽다?

요즘 한류드라마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클리셰 중에 하나는 바로 재벌 2세, 3세 타령입니다. <파리의 연인>, <꽃보다 남자> 등등 해서 말도 안되는 신데렐라 스토리가 이렇게 오랫동안 인기를 끌 수 있는 것을 보면 참으로 경이롭기도 합니다.

꽃보다_남자

(2009년 방영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꽃보다 남자>의 F4와 금잔디. 개연성따위 버려놓고 보면 볼 만 했던 듯 합니다.)

저도 드라마를 많이는 보지 않아서 잘은 모릅니다만, <꽃보다 남자>의 예처럼 2세들이 행동하면 도대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이에 대해 연구한 기사를 언뜻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경험없는 2세의 권력 승계 이후에 배임이니, 부실 경영이니 해서 경쟁에서 사라진 대한민국의 대기업들만 수십 군데인데, 그 중 몇몇은 우리나라 재계 순위 20권에 들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중기중앙회의 연구에 따르면 안타깝게도 30% 남짓한 숫자 만이 제대로 된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좋든 싫든 결국에는 우리나라의 리더들인데 말입니다.
그렇다면 이는 비단 21세기 만의 현상일까요? 오늘의 이야기는 바로 수성에 실패해 제대로 말아먹은 후계자 양제입니다.

5b036d1bb5424868b7a66ce1721a6c04

(안녕? 난 양제야. 내 이야기 한 번 들어볼래?)

6세기 후반 중국은 남북조 시대의 혼란기였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삼국지(유비, 관우, 장비, 조조, 손권, 공명 아시죠?) 위촉오 시대의 중국은 위나라에서 발생한 진나라에 의해 통일됩니다. 그리고 진은 동쪽으로 밀리다가 쿠데타에 의해 멸망하게 되지요. 중국의 ‘천하’는 네 개로 쪼개졌고, 그 네 가지 영역 안에서 또 자기들끼리 왕조를 세웠다가 말았다가 하며 치고 박고 싸우게 됩니다.

581px-三国行政区划(简)

(이렇게 세 개로 나뉘어 져있던 중국이(위촉오))

Western_Jeun_Dynasty_280_CE

(이렇게 통일이 됐다가(진),)

Northern_and_Southern_Dynasties_560_CE

(또 이렇게 쪼개집니다(남북조). )

때는 580년, 북주라는 나라의 황제 선제의 장인이던 섭정 양견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합니다. 양견은 그야말로 천재적인 군사 및 정치 능력을 보여주며 북주를 장악함과 동시에 통일전쟁을 벌입니다. 이 사람은 10여 년 만에 지난 300여 년 간 통일되지 않았던 중국 대륙을 복속시키는 실로 말도 안되는 능력을 보여주며 수나라 문제로 등극합니다.

Cheui_Dynasty_581_CE

(그 엉망진창이던 대륙이 이렇게 정리가 되었습니다.)

수나라 문제가 그렇다고 해서 싸움꾼이었느냐 하면 또 그건 아니었습니다. 정복 전쟁이 끝나자마자 양견은 국가 수리 작업에 착수합니다. 전후 재건이라는 당연한 과제부터, 멸망 왕족 처리, 문화적 차이 극복 등등 그가 넘어야 할 산은 넘치고 넘쳤습니다. 이 사람이 단순한 싸움꾼이 아니었다는 걸 증명하는 사례로는 정복전쟁 후반기에는 수나라의 민가 수가 늘고 있었다는 것이 있겠습니다.

dab009a69a1ea2da9152ee0c

(수나라 문제 양견입니다. 세계 역사의 흐름을 읽다 보면은 보통 몇 백년에 한 번씩 나와서 정리를 싹해주는 걸출한 청소부들 중의 한 명이지요.)

‘개황(문제의 연호)의 치’라고 불린 그의 치세에는 선거제(과거제의 원시 형태) 실시를 통한 중앙집권화와 균전제를 통한 소작농 지원 정책들이 실시되어 그야말로 서민들에겐 유토피아 였습니다. 인구는 폭발했고, 전쟁이 없어 징병당하지 않으니 등록인구 또한 급증해 국고는 순식간에 불어났습니다. 이 엄청난 노동력을 놀리기 싫었던 양견은 양자강과 황하강을 잇는 대운하 공사를 시작하지만 백성들의 고초가 들리자마자 그만두게 됩니다.

33156
(빨강이 수나라 문제가 포기하자 훗날 양제가 건설한 운하입니다. 이후 명청 시대에 개수 및 확장이 이루어져 현재 북경과 양주를 잇는 경항대운하의 근간이 됩니다. )

하지만 이런 슈퍼맨 황제에게도 약점이 하나 있었는데, 바로 그의 아내 독고황후가 되시겠습니다. 독고황후는 지금 기준에서 봤을 때에도 굉장한 내조의 여왕이었는데, 그 교양과 학식이 남편 양견과 국가 정책의 실효성을 논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이렇듯 양견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던 황후는 양용과 양광, 두 아들을 문제에게 낳아줍니다.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부부는 황태자 양용의 방탕한 생활을 매우 혐오했습니다. 매일 술 퍼마시고 하라는 공부는 안하는 자식의 생활을 좋게 보는 부모가 어디 있겠습니까만은, 독고황후의 양용 혐오는 조금 도가 지나칠 정도였습니다. 이를 이용한 건 바로 동생 양광(훗날 수 양제)이었습니다. 형과 다르게 그는 자신의 첩을 숨기고 매일 독서하는 척하며 정치에도 참여하려는 듯 보였습니다. 이러니 엄마가 양광을 좋아하지 않을 수 없지 않겠습니까?

결국 양용의 세자빈이 병으로 사망했을 때 양광의 신의 한 수가 발동하게 됩니다. 바로 독고황후가 양용에게 간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양용의 애첩을 보낸 것입니다. 황태자가 첩과 시시덕거리는 줄 알았던 황후는 문제에게 달려가 양광을 태자로 책봉하도록 요구했고 노발대발한 문제는 양광을 후계자로 삼습니다.
독고황후가 사망한 뒤에 양광은 본모습을 보입니다. 이제 걸리적거릴 것이 없었던 양광은 사치 향락을 일삼다 급기야 아버지의 애첩 진씨를 건드리게 됩니다. 문제는 그 당시 병이 위중해 양광의 행동들을 보고만 있었지만, 진씨의 통곡을 들은 후에는 진노해 양광을 소환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양광의 막장행보는 진정한 스타트를 끊게 되는데요, 바로 휘하 장군 양소와 장형과 모의해 자신의 아버지와 형을 선수쳐 암살한 것이었습니다.

N2006122909480882301

(드라마 <연개소문>에서 수 양제 양광을 열연하신 김갑수 옹. 이 망작 드라마에서도 그 포스는 연개소문을 병풍으로 만들 정도 였습니다.)

아무튼 이러이러한 일들을 하고 양제로 등극한 양광은 제대로 된 대륙의 기상을 보여줍니다.
그가 즉위하자마자 한 일은 바로 만리장성 다시 쌓기! 

이미 아버지 대에 통일전쟁 동안 북부 경계는 확실히 해놓은 바 있었기에 쓸데 없이 일을 벌인 셈입니다.

GreatWallofQinDynasty

(주황색의 길이만 눈대중으로 봐도 한반도보다 깁니다. 이걸 도대체 어느 세월에 다시 쌓는단 말입니까;; 미친거죠 그냥.)

그리고 양제의 다음 미션은 바로 앞서 말한 대운하 만들기!
그럼 운하를 그냥 만드느냐? 아닙니다. 초 거대 사업인데 황제 폐하께서 친히 시찰을 나가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럼 백성들이 선물들고 나와서 환영을 해야하죠? 양제가 가는 고을마다 백성들은 음식을 들고 나와서 바쳐야 했습니다. 그걸 그럼 폐하께서 잡수시느냐? 아닙니다. 그냥 땅에 묻고 떠났습니다. 근데 이걸 한두 번도 아니고 몇 번을 하니까 서민 경제가 남아 나겠습니까. 그리고 황제 폐하께서 행차를 하시는데 아무데서나 지내실 수 있겠습니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대륙맨 양제는 친히 운하를 따라 궁전을 40개나 건설하는 위엄을 보였습니다.

201206220747217601

(지금도 남아있어 사용 가능한 수나라 대의 운하입니다. 후세인들을 위해 자기 나라를 하얗게 불태우신 양제에게 박수.)

양제는 ‘용주’라고 불린 커다란 배를 만들어 운하를 타고 유람했다고 합니다. 한 번은 공사가 잘 되지 않아 배가 잠깐 멈춘 일이 있었는데, 만 오천 여 명에 달하는 인부들을 그 자리에서 생매장시켜 해결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장대한 피날레는 수나라의 정신줄을 한 방에 날려버린 고대 동아시아 최고의 삽질 고구려 침공!
이미 수 문제 때에 지방 세족의 관심을 돌리려 30만 병사를 양용과 양광에게 맡겨 고구려를 쳤다가 대차게 깨진 적이 있었습니다. 문제는 분노해 아들들에게 자결을 명했지만 독고황후가 애원해 살려줬다고 하는데, 이때부터 양광은 고구려를 집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먼저 양제는 북쪽의 위치한 고구려의 동맹인 돌궐을 몰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이 때 돌궐에서 고구려에 사자를 보내 수나라 군의 실태를 알려 줬다는 말도 있습니다.

halay

(돌궐은 튀르크의 한자 음차에 불과합니다. 그렇습니다. 터키할 때 말하는 그 튀르크입니다. 형제의 나라라는 말이 바로 삼국시대 고구려와의 동맹에서 나온 것이지요.)

돌궐을 복속시킨 양제는 모든 물자를 북경으로 집중시킵니다. 113만 대군을 편성하고(양제 직속만 40만이었다고 합니다.) 10만 수군, 병선 300척을 장군 내호아에게 내주어 진군하도록 했습니다. 이 배들을 제 시간 안에 만드느라 일꾼들이 물 밖으로 나오질 못해 배와 내장에 구더기와 기생충이 들러붙는 변을 당했다는데 솔직히 믿기 힘든 내용이네요. 그 밖에 물자를 수송하고 보급하는 인부의 수도 200만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060613__66215

(2002 한일 월드컵 당시 광화문 광장에 모인 붉은 악마들입니다. 지금도 그 함성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이게 30만 명인데, 이 사진의 10배라니 상상조차 되지 않네요.)

고수전쟁은 그 자체만 해도 글 5개 정도 분량이니 깊게 들어가진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이 글은 수나라 그룹의 재벌 2세 양제의 삽질을 소개하는 내용이거든요. 숫자만 설명하자면, 첫 번째 관문인 강 요하를 두고 고구려와 2달 간 싸운 후 강을 건넜을 때 수나라는 30만 명 남짓한 병력만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물론 순전히 전투 손실은 아니었고, 탈영, 질병, 보급 등의 비전투 손실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양제는 좀 더 진격해 요동성을 포위하지만 일이 될 리가 없었지요. 요동성의 고구려 군은 항복하는 척하고 시간을 벌었다가 다시 공격하고 다시 항복하는 척하고 공격하고를 반복하고 있었거든요.

양제는 하는 수 없이 옆에 있던 조그만 육합성을 깨려고 노력하지만 이 사람이 뭐가 되는 일이 있겠습니까? 빡칠 대로 빡친 양제는 내호아의 수군에게 고구려의 수도 평양을 직접 공격하라고 지시하고 육군도 보내지만 실패하고 돌아오는 길에 그 유명한 살수대첩에서 제대로 말아먹습니다.

11-6[2]

(우리 민족의 영웅 을지문덕 장군이 살수에서 수나라 군을 몰살한 후 살아남은 병사는 2700명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113만을 이끌고 출정해서 2700명을 데리고 온 양제는 생존률 0.23 퍼센트의 배틀로얄에서 살아남은 영웅이었습니다. 물론 수나라 사람들의 생각은 달랐겠지만 말입니다. 이후 양제는 다시 한번 30만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하지만 결과는 뻔했습니다. 이건 뭐 바보도 아니고…

이제 양제의 막장행보도 막을 내리려 하고 있었습니다. 이미 문제 때부터 시행된 균전제로 인해 플랜테이션 농업을 모두 몰수당한 지방의 중소기업들이 다 같이 연합해 수나라 그룹을 때려부수기 위해 들고 일어난 것이었습니다. 문제 치세 때 부터 있었던 불만이 문제가 손도 못 대던 게 양제 때 터진 거라는 시각이 있는데 제 생각은 다릅니다. 양제의 정치력 부족이 주된 이유지 문제의 카리스마로는 그 당시 정복군주의 권위로 뭐든 다 할 수 있었을 겁니다. 아무튼 그의 사촌 뻘인 지방 세족 이연 또한 반기를 들었죠.

9e2000bf9f2f47a4a73c94bd8a9fbeff

(당 고조 이연입니다. 이 사람도 그리고 그 아들 당 태종 이세민도 고구려를 멸망시키려하지만 둘 다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습니다. 생각해보면 고구려 멸망시키기가 당시 중국 황제의 이룰 수 없는 이상이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훗날 당나라 그룹의 회장이 되는 이연은 그의 똑똑한 아들 이세민(당 태종)과 함께 장안으로 쳐들어가 양제를 폐위시킵니다. 아직 사태파악을 못한 양제는 계속해서 술 퍼마시고 놀다가 자신이 살수대첩 이후 처벌했던 장수 우문술의 아들들에게 목이 달아납니다.
그의 이름에서 ‘양’은 주색잡기에 취해 나랏일을 소홀히 하고 여색을 탐해 백성을 착취하며 하늘을 거역했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물론 어느 후계자라도 수 양제처럼 되기는 좀처럼 쉽지 않을 것입니다. 광기만으로는 부족한 그 무언가가 양제의 삽질에는 분명히 있었습니다. 수성이 창업보다 훨씬 어려운 만큼, 부디 우리나라 기업들은 후계자 승계 교육을 철저히 해 양제같은 꼴이 나지 않았으면 합니다. 만약 우리나라에 팽배하는 기업 세습 풍조를 없애고 싶지 않다면 최소한 우리나라의 기간을 차지하는 산업에 대해서는 가족과 개인의 회사 이상의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법에서는 판례를 보고 미래를 결정하듯이, 경영인들도 이공계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인문학과 역사를 보고 미래를 내다보았으면 좋겠네요.

사진 출처:

http://emeng.tistory.com/206
http://korean.cri.cn
http://en.wikipedia.org
http://upload.wikimedia.org

미국의 시리아 내전 개입은 불가피한가?

미국의 시리아 개입은 불가피한가?

시리아 내전 문제에 대한 찬반 토론이 세계 각국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찬성하는 파는 주로 인도적인 문제에 대해 개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는 반면에 반대하는 파는 시리아의 주권을 존중해 집안 일은 알아서 해결하게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물론 이 딜레마가 그리 쉽게 풀어질 이슈는 아닙니다. 하지만 저는 오늘 역사적인 입장에서 이 문제에 대한 예제를 들어 보려 합니다.

미국은 명실상부한 패권 국가입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대영제국의 몰락과 함께 소련의 강력한 라이벌로 부상했고, 1991년 소련이 붕괴함과 동시에 확고한 세계 1위의 슈퍼파워가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미국은 세계의 경찰을 자처하며 국제 사회에 적극적으로 개입했습니다. 물론 멋모르고 나섰다가 깨진 사례도 많습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의 배경이 된 1993년 소말리아 분쟁도 그렇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그리고 이라크 전쟁 등이 있습니다.

Image

(<블랙 호크 다운> 최고의 명장면들 중 하나였던 리틀버드의 착륙장면입니다. 힘차게 내린 용감한 병사들 중에는 지휘부의 실수에 희생된 사람이 많았습니다.)

물론 미국 정부도 바보는 아니니 쓸데 없는 일을 굳이 벌이려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저 멀리 아프리카나 중동까지 가서 누굴 때려 부수려고 할까요?

답은 바로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일 것입니다. ‘팍스 아메리카나’라고 조소적으로 사람들이 부르는 이 시대는 미국이 중재하는 세계입니다. 이게 시리아 내전이랑 정확히 무슨 관련이 있느냐 하면, 미국의 주적을 생각해보면 되겠습니다. 미국이 생각하는 명실상부한 주적을 꼽자면 이란과 북한일 텐데요, 이들은 핵무장으로 미국과 다른 강대국들의 염통을 쫄깃하게 하는 효과를 보여준 바 있습니다. 만약 미국이 자신이 아직 건재하다는 것을 시리아 사태로 보여주지 않는다면 이란과 북한은 ‘어, 쟤네는 그 난리를 쳐도 미국이 가만히 있네?’ 하고 더 많이 국제 평화를 방해하는 쪽으로 갈 것입니다. 결국 팍스 아메리카나를 망칠 불씨를 당기게 되는 것이고, 미국은 그 불길을 조기에 진압해야 하는 거죠.

Image

(이제는 미국의 자부심이 된 항모전단. 항모전단 하나에 소속된 육해공 전력이 한 나라의 전체 전력과 맞먹는 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국은 이런 걸 11개나 굴리고 있으니…)

그럼 이제 미국 이전에 세계의 패권을 거머 쥐었던 나라의 사례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트라야누스 황제 치하의 로마 제국입니다.

당시 로마 제국은 혼돈의 도가니 였습니다. 원로원에 의해 폭군이자 ‘국가의 적’으로 규정된 도미티아누스가 암살당하고, 오현제 중 첫 번째로 평가받는 네르바가 제위에 올라있었습니다. 66세에 제위에 오른 네르바는 긴급히 게르마니아(로마인들이 게르마니아라고 이름만 붙이고 사실 진짜 게르마니아와 국경선을 맞대고 있는) 속주 총독 트라야누스를 자신의 후계자로 선포합니다. 이리하여 2년 후 네르바가 사망했을 때 트라야누스는 별 반대 없이 제위에 순탄히 오를 수 있었습니다. 4년 만에 황제가 3명이나 바뀐 셈인데요, 여기서 트라야누스는 로마의 황금기를 열 재목이었음을 극명히 보여줍니다. 먼저 그는 바로 로마로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게르마니아 지역 방위군 사령관으로서 국경 밖의 게르만 족이 로마의 정치 혼란을 눈여겨 보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죠.

로마 제국의 방위 전략은 주로 공격적인 방어였습니다. 말하자면 적이 공격 준비를 하고 있는 낌새를 보이면 먼저 쳐들어가 깡그리 박살내고 나온다는 것이었죠.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상비군 체제가 완벽히 준비되어 있어야 했고, 로마 후기로 가며 주둔군 위주가 아닌 기동군 위주로 체제가 재편성되며 전성기 때의 전략은 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220px-Traianus_Glyptothek_Munich_72

(로마의 상남자 트라야누스 황제 흉상입니다. 공공의 실질강건이 뭔지 보여준 멋있는 황제이지요.)

그러나 게르마니아를 직접 대대적으로 공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이미 선대 황제들 중 아우구스투스가 너무나도 잘 알려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거하게 말아먹은 전적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 이후로도 로마인들은 ‘게르만 족’ 하면 치를 떨었습니다. 로마 제국 전기에 천재적으로 가장 강한 황권을 휘둘렀다고 알려진 아우구스투스가 두번 다시 시도해보지 못했던 일을 갓 즉위한 트라야누스가 시도하기에는 무리였습니다.

dhm1789

(토이토부르크 숲의 전투 광경입니다. 로마 장군이었던 푸블리우스 바루스는 로마에 대해 잘 알고 있던 게르만인 아르미니우스에 속아 넘어가 이 전투에서 원정군 전체 3개 군단 2만 여 명을 모두 사지에 몰아넣게 됩니다. 이 전투의 여파로 로마는 게르만 전역을 아예 포기하게 되죠.)

그래서 트라야누스는 생각했습니다. 게르마니아 대신에 우리 주위에 어느 한 놈을 붙잡아 족치면  게르마니아도 당분간은 조용해지지 않을까? 하고 말입니다. 왜냐하면 게르마니아에서의 전쟁에 있어서 로마군이 걱정했던 것은 전투력이 아니라 지형이었거든요. 평원에서의 싸움에는 로마군을 이길 자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게르마니아는 숲이 많고 땅이 넓어서 로마라는 하나의 국가 전체가 제대로 크게 일을 벌이지 않고 쉬엄쉬엄하다가는 그대로 밀려버리는 특성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트라야누스에게는 다행히도, 때마침 로마에 도전하는 지역이 나타났습니다. 그건 바로 현재의 루마니아에 해당하는 발칸반도 북쪽의 다키아였습니다.

Image

(진한 빨강으로 칠해진 지역이 바로 다키아입니다.)

사실 로마 제국과 다키아 사이의 분쟁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었습니다. 다키아 왕 데케발루스가 즉위하고 나서부터는 이미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대 때부터 로마와 충돌하고 있었고, 또 한 번은 로마 장군 푸스쿠스가 다키아 원정길에 올랐다가 마르코만니 족에게 대패해 전사한 일도 있었습니다. 이 원정의 참패로 말미암아 로마는 배상금을 지불하고 군사고문을 파견하는 굴욕적인 강화를 맺게 됩니다.

이미 뛰어난 군사적인 재능을 인정받고 있던 트라야누스에게 다키아만큼 먹음직스런 지역도 없었을 것입니다. 먼저 게르마니아 및 방위선 문제를 해결해야 했던 실질적인 이유도 있었고, 또 네르바의 후계자로서 군사적인 대대적 승리를 거머쥐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해야 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또 데케발루스에게는 불행하게도, 다키아에는 당시 대량의 금광과 은광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로써 다키아는 트라야누스에게 있어서 군사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좋은 답이 된 것입니다. 트라야누스는 원로원의 승인을 받기 위해 1년 후로 로마로 돌아갑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정치적 제스처 였는데, 왜냐하면 황제가 이제는 유명무실해진 기관인 원로원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것을 보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Image

(로마 원로원의 상상도입니다. 역대 로마 황제를 평가할 때 중요한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는 것이 그 황제와 원로원 사이의 관계이니 만큼 이는 매우 중요한 제스쳐 였습니다.)

이리하여 기원후 101년, 트라야누스는 다키아를 멸망시키기로 마음먹고 대군을 이끌고 진군합니다. 안타깝게도, 다키아 전쟁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이 소실되어 정확한 수치를 알기 어렵습니다. 그나마 남아있는 것들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트라야누스 원기둥일 것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림만으로 설명하니 전쟁에 대한 정확한 단계와 진행은 알기 어렵습니다.

ImageImage

(트라야누스 원기둥입니다. 창과 방패 등 무구는 구리로 표현했었다고 하는군요. ‘했었’다고 하는 이유는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사람들이 구리를 모두 뜯어갔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정보 전달은 힘들지만, 양각된 사람들의 모습은 정교한 예술 작품으로는 손색이 없습니다.)

몇 가지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로마군이 매우 승승장구했다는 것, 그리고 기원후 102년 경에는 다키아의 수도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북쪽 지방으로 쫓겨난 다키아인들은 게릴라전을 계속했습니다. 로마의 주둔군의 피해가 심해지자 트라야누스는 이제 아예 다키아를 지도 상에서 지워버릴 결심을 했고, 106년에 다키아는 완전히 멸망해 275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포기할 때 까지 로마의 속주가 됩니다. 데케발루스는 어떻게 됐냐고요? 106년 로마군의 포위공격 끝에 이 다키아 왕은 자결하게 됩니다.

고대사적인 관점에 있어서 로마가 비교적 자비로웠던 것은 바로 점령 후 약탈의 정도가 다른 문명보다는 적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다키아 전쟁은 칭기즈 칸이 천 년이나 앞당겨진 것 마냥 철저한 초토화 작업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모든 다키아 부족민들은 추방당하거나 살해되었지요. 이러한 강경책을 사용하게 된 배경에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다른 나라들에게, 이 경우에는 게르마니아에, 로마가 아직 건재함을 보여주려는 계기가 뒷받침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팍스 로마나’를 증명한 셈이 된 것입니다.

현재 시리아 내전과 미국의 관계도 이와 같습니다. 시리아라는 하나의 지역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주적인 이란과 북한, 더 나아가 러시아와 중국에 미국 주도의 질서가 어떤 것인지 보여주려면 실력행사가 불가피한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조금 음모론적으로 들어가자면, 밑도끝도 없겠지만, 미국이 외교적으로 궁지에 몰린 듯한 생각도 드는 군요. 개입을 하자니 러시아가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한다고 하고, 개입을 안 하자니 미국의 자존심과 패권이 흔들릴 상황이니 말입니다. 만약 제 3자나 미국의 적대 세력이 이를 꾸몄다면 정말 제대로 된 외통수일 수도 있겠습니다. 현재 미국은 당시의 로마와는 물론 다릅니다. 로마와 달리 국제적인 눈치도 봐야하고, 또 계속된 전쟁으로 피폐해진 경제도 개입으로 매꿀 수가 없습니다. 모쪼록 평화적인 방법으로 범죄자들에게는 책임을 물어 엄중히 처벌하는 결과가 나타나면 합니다.

전 제 블로그에서 어떠한 정치적 입장을 피력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전 그저 사회 현상을 보고 이에 걸맞는 역사적인 사례를 예로 들어 독자 분들의 이해를 도우려는 것입니다. 제 궁극적인 목표는 바로 역사는 반복된다는 사실을 여러분이 깨달을 수 있도록 돕고, 또 역사는 얼마든지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려는 것입니다. 그냥 가볍게 ‘아 이런 사례가 과거에도 있었구나!’ 하고 머리 속에 넣어 가시면 되시겠습니다.

사진 출처:

http://www.military-art.com

wikimedia.org/wikipedia/commons

http://www.historynotes.info

Home

downloads.bbc.co.uk